도로 재 비산 먼지의 심각성
도로 위의 재 비산 먼지, 알고 보니 1급 발암물질
수도권 지역은 인구 집중으로 인해 대기오염이 심화되고 있으며, 특히, 먼지의 크기가 10 ㎛ 이하인 미세먼지는 코 점막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나 뇌까지 침투한다고 한다. 또한 호흡기를 통해 들어간 초미세먼지는 간의 폐포(허파로 들어간 기관지의 끝에 포도송이처럼 달려 있는 자루)까지 침투하여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도로 재 비산먼지의 유해성
미세먼지(PM10) 중 도로 재 비산먼지는 생활주변에서 주민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오염물질로서 1급 발암물질까지 포함하고 있어 매우 심각하다. 무엇보다 이러한 초미세먼지는 성인들도 제지만 성장기에 있는 어린아이들에겐 더욱 치명적이다.
도로 재 비산먼지는 Al, K, Ca 등의 지각 물질에 기인하는 자연적 성분 외에도 배출가스, 타이어 및 브레이크 마모 등에 의해 발생되는 Cd, Pb, Cr 등 유해한 인위적 성분을 포함하여 일반 먼지에 비해 더욱 인체에 해롭다고 한다.
이 그래프는 브레이크 마모 및 타이어 마모 미세먼지 측정 시뮬레이터로 측정한 미세먼지 배출량과 차량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배출량을 나타낸 것이다. 유로6 배출 규제를 만족하는 DPF 장착 디젤차 및 GDI 가솔린차에 비하여 브레이크 마모에 의해서 2배 이상의 많은 미세먼지가 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신 차량 기준으로 타이어나 브레이크 마모에 의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차량의 배출가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보다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도로 위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알 수 있는 좋은 실험 결과이기도 하다.
미세먼지 폐 기능 평균 6% 떨어뜨린다.
미세먼지에 장시간 노출된 어린이가 성인이 되어 폐 기능이 떨어질 확률이 4.9배가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며, 출생 후 8세 때까지 주요 간선도로 100m 이내에서 살았던 어린이들은 간선도로로부터 400m 이상 떨어져 산 어린이들에 비해 폐 기능이 평균 6% 떨어졌다고 한다.
수도권 지역 미세먼지 현황
최근 10년간 수도권 미세먼지 변화를 보면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이나 WHO 권고기준(20㎍/㎥)을 크게 초과하고 있다.
주요 OECD 대도시 미세먼지 현황은 아래 표와 같이 서울 등 수도권은 선진국 대도시에 비해 미세먼지 농도가 약 2.1배 높음을 알 수 있다.
아래 표는 ’18년 연평균 농도는 제주가 가장 낮으며(19㎍/m3) 충북‧전북‧경기는환경기준(15㎍/m3)을 60% 이상 초과하는 등 지역별로 편차를 볼 수 있다. 이렇듯 미세먼지는 서울 도심만의 문제가 아닌지 이미 오래되었다.
대한민국 전체의 문제이고 재난인 것이다.
▶ 18년 시도별 나쁨일수 : 전국 평균 59일, 충북 102일, 전북 87일, 경기 74일을 보이고 있다.
국내 최초로 도로용 친환경 비산방지제 개발
작년 4월에 설립된 스타트업 기업 ㈜에코케미칼은 국내 최초로 도로용 친환경 비산방지제 ‘ECO-200SPR’ 개발을 2019년 9월에 이미 마쳤으며 조달청에 벤처창업 혁신 조달상품지정 등록되어 판매를 시작하고 있다.
미세먼지를 사회적 재난으로 포함 시키기 위한 안전 관리기본법 개정안 등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였고 한국판 그린 뉴딜정책이 시작된 만큼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도로 위에 재비산 먼지를 해결해야만 한다. 친환경 도로 비산방지제가 개발된 만큼 이를 적적히 사용해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를 조금이라도 해소했으면 좋겠다.
국내 최초 친환경 도로미세먼지 저감제 개발 (주)에코케미칼
주식회사 에코케미칼
미세먼지 저감용 친환경 비산방지제,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스마트 저장시스템, 미세먼지 포집기, 비산방지제 원격 살포장치, 환경데이터 서비스
www.ecochemica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