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오존 오염에…5000m 달리기 선수 기록에도 영향
초미세먼지(PM2.5)나 오존(O3) 오염이 심한 곳에서 연습한다면 달리기 선수의 성적도 나빠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대기오염이 심할 때 실외에서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은 상식이지만, 구체적인 데이터로 입증이 된 것이다.
미국 스탠퍼드 의과대학과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과대학원 연구팀은 최근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저널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아주 심하지 않더라도 훈련 중에 지속해서 대기오염에 노출되면 달리기 선수의 성적이 나빠질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10~2014년 사이에 열린 전미(全美) 대학 경기협회(NCAA)의 1등급(Division 1)의 야외 육상 5000m 143개 경주와 여기에 참가한 46개 대학 엘리트 남자 선수 334명의 총 1104개 달리기 기록을 분석했다.
또, 이 선수들이 경기 참가 20일 전과 경기 당일 날까지 각 21일 동안 노출된 초미세먼지, 오존의 대기오염 정도를 대기 질 지수(AQI)로 파악했다.
연구팀은 기상 요인(온도, 풍속 등)과 경기장 고도(高度), 선수 개인 기록 추세, 소속대학, 인종 등과 같이 대기오염 외에 경기 성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 분석에 반영했다.
분석 결과, 5000m 평균 기록은 14분 17초(범위: 13분 15초~16분 9초)였다.
초미세먼지 오염도는 88%가 '좋음(㎥당 0~12㎍, 마이크로그램)'에 속했고, '보통(12.1~35.4㎍/㎥)'이 12%, '나쁨(35.5~55.4㎍/㎥)'은 1% 미만이었다.
오존 오염도는 79%가 '좋음(0~54ppm)', 20%는 '보통(55~70ppm)', '나쁨(71~85ppm)'은 1% 미만이었다.
오염 노출 때 기록 12초 늦어져
연구팀은 초미세먼지 오염이 심한 순서로 상위 20%에 해당하는 10㎍/㎥ 오염도에 21일 동안 노출됐을 때는 하위 20%(5㎍/㎥)에 노출됐을 때보다 5000m 경기 골인 시간이 12.8초(1.29~24.2초 범위, 95% 신뢰도) 길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또, 오존 오염도가 상위 20%(54.9ppm)에 21일 동안 노출됐을 때는 하위 20%(36.9ppm)일 때보다 기록이 11.5초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NCAA 1등급 선수들 사이에서 기록이 12초 정도 늦어지는 것은 1위 선수가 6위로 들어오는 것에 비교할 수 있고, 미국 대표선수 선발에서 탈락할 수도 있을 정도로 중요한 차이"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또 "대기오염이 심한 상위 20%라고 해도 대기오염지수로는 '좋음'에 해당했는데, 이는 '좋음' 구간 내에서도 오염이 증가하면 선수 성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선수 중에서도 아직 신체 발달 단계에 있는 젊은 운동선수나 천식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운동선수에게는 더 두드러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선수들의 대기오염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치들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오염 심해도 운동하는 게 낫다는 주장도
한편, 육상선수들이 달리기 할 때는 더 많은 공기를 호흡하기 위해 코 대신 입으로 숨을 쉬게 되고, 이 경우 비강의 공기 여과 기능을 우회하는 셈이 된다.
또, 호흡하는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면서 공기 중 오염물질이 호흡기로 더 깊숙이 운반된다. 오염물질이 혈관을 통해 확산하면서 심혈관계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일반인의 경우는 대기오염이 심할 때도 밖에서 운동하는 것이 건강에 더 낫다는 주장도 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국제 의학학술지인 랜싯(The Lancet)에 보고된 논문에 따르면, 미세먼지는 고혈압, 흡연, 당뇨, 비만 다음가는 사망위험요인으로, 2015년만 해도 약 420만 명이 PM2.5 크기의 미세먼지로 인해 조기 사망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인은 특히 미세먼지에 취약하며 한 해 2만 명 가량이 미세먼지로 인해 조기 사망할 것이라 추정했고 시간이 지날수록 그 숫자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위드 코로나 이후 미세먼지가 심각한 날에도 거리에는 마스크 안 쓴 사람이 다시 늘어가고 있고, 뿌연 하늘은 다시 평범한 일상이 되었는데 얼마나 위험한 상황인지 인식체계도 제대로 안 잡혀 있고 홍보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사실 그 어느 재난보다도 심각하고 위험하며 생명에 치명적인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