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도심 도로 비산먼지 해결 방안은?
그림으로 보는 도심 속 미세먼지 감축 방안 알아보기
도시에 살면서 한 번쯤은 미세먼지를 걱정해 보지 않으셨나요?
이런 심각한 미세먼지를 감축하기 위한 방안들을 부산시환경교육센터 에코아리 5기 김민혜 기자가 알기 쉽게 정리를 했기에 다시 올려 봅니다. 이해함에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울러 차량 통행이 많은 도심 도로 주변이나 공사장 주변을 이동 시 가급적 마스크 착용을 권고드립니다.
비산먼지란?
제조업 공장이나 건설 공사 현장, 농업용 생산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날림먼지를 비산먼지라고 합니다.
대기오염물질 중 비산먼지의 비중도 굉장한 수준입니다. 또한 서울의 미세먼지 오염 수준은 OECD 선진국 수도 가운데 가장 열악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즉, 서울의 미세먼지(PM10) 오염도는 런던의 3.5배, 도쿄의 1.7배를 기록하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의 수도 중에서 가장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절실한 이유입니다.
이러한 비산먼지를 감축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첫 번째, 고압살수차 방식,
두 번째, 도로용 미세먼지 친환경 비산방지제
세 번째, ESG 경영 등이 있습니다.
고압 살수차란?
가압 펌프나 기타 동력을 이용해 물을 고압으로 뿜어내는 장치들을 통칭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하지만 고압 살수차의 좋은 효과도 있지만 이와 반대로 한계도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도심에서의 비산먼지의 주원인은 도로 위에 쌓인 미세먼지의 비산 현상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 현재까지는 고압 살포 방식의 도로 물청소가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압으로 분사되는 강한 물줄기에 도로 연석 아래 쌓여 있던 미세먼지가 도로 안쪽으로 재배치됩니다. 이렇게 도로에 재배치된 미세먼지는 물이 건조된 후 자동차가 주행하면 다시 날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도로 날림 미세먼지에는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로 발생하는 크롬(Cr), 납(Pb), 카드뮴(Cd) 등의 중금속 성분 미세입자와 타이어 마모로 발생하는 카본 성분의 미세입자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이 더 심각합니다.
효과는 있지만 상반되는 큰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고압 살수차는 비산먼지를 감축하는데 믿고 사용할 방안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비산 방지제는 환경친화성을 가져 심한 유해 물질의 문제의 우려가 적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국내 중소기업 (주)에코케미칼이 친환경 비산방지제 'ECO-200SPR'을 개발했는데, 미세먼지 저감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에 의뢰한 용역시험 결과, 물 살포와 비교하여 ‘ECO-200SPR’ 200배 희석액을 살포할 경우 미세먼지(PM10) 농도를 93% 이상,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92% 이상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압 살포 방식으로 친환경 비산방지제 200배 희석액 8톤을 살포할 경우 4.3km 도로 물청소가 가능하며, 비산방지제를 활용하여 살포 방법을 개선하면, 같은 양의 용수로 7배 더 긴 거리를 살포할 수 있고 미세먼지의 날림을 보다 오랫동안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비산먼지 감축의 효과가 좋다는 점에서 정말 도드라지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도심 비산먼지를 감축하는 방안을 알아봤습니다. 길을 지나면서 먼지 감축하는 방법들을 실제로 보고도 그냥 지나친 적이 많을 겁니다. 하지만 이렇게 글을 읽고 나면 대기오염 감축이 지속적으로 노력되고 있다는 점을 확연히 느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무리하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산광역시환경교육센터 ▶관련기사 바로가기]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미세먼지 농도
매일 아침 뉴스에서 대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가 좋고 나쁨이 흘러나오고 있다. 순전히 높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인 것이다. 우리가 걸어 다니며 생활하는 생활권 높이의 미세먼지 농도가 아니라는 것이다. 문제는 생활권 미세먼지 농도가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보다 적게는 2배 이상 많게는 수십 배 이상이 나오기 때문이다.
도심 속 미세먼지 농도가 ‘좋음’으로 보도가 되고 측정이 되더라고 높이에 따라 다른 공기를 마신다. 키가 작은 어린이 호흡기 높이에서 측정되는 미세먼지 농도는 전혀 다른 결과가 측정되고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 더 나쁜 공기를 마실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고 대책이 필요하다.
어린이의 경우 1분 간 호흡수가 어른은 12번인 반면, 20번 숨을 쉬며 체중 1kg 당 호흡량도 성인이 200L, 한 살 미만은 600L로 나이가 적을수록 더 많아 미세먼지 위협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고, 노인 역시 미세먼지 노출 시 사망 및 질병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아 어린이와 마찬가지로 취약 계층으로 나눈다. 미세먼지(PM10) 농도 10㎍/㎥ 증가 시 젊은 층의 사망 위험은 0.34% 높아지는데 노인 집단에서는 0.64%로 훨씬 더 높다.
→ 이렇기 때문에 도심 속 도로 미세먼지 저감과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사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