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로 인한 미세먼지, 타이어·도로 마모가 대부분
자동차 미세먼지 ‘배기가스’보다 ‘타이어·도로 마모’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라고 하면 흔히 배기가스를 많이 알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차량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측정해 봤더니 90% 이상은 타이어나 도로가 마모되거나 도로변 먼지가 흩어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친환경 자동차로 불리는 전기차도 예외는 아니었다. 관련 내용은 아래와 같다.
[리포트] 국내 연구진이 차량 타이어가 도로를 주행하는 것처럼 실험했더니 타이어가 마모되면서 바닥에 먼지가 쌓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먼지 양은 얼마나 될까?
휘발유 자동차에서 발생한 km당 미세먼지는 42mg, 이 가운데 타이어와 브레이크 마모, 그리고 도로 마모는 각각 11mg, 도로변에 가라앉아 있다가 흩어지는 먼지는 19mg이었습니다. 전체 발생량의 97%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배기가스로 인한 미세먼지는 1mg에 불과했습니다. 경유차도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전기차에서는 유해 배기가스가 전혀 배출되지 않았지만, 47mg의 미세먼지가 발생했고 대부분이 타이어와 브레이크 마모, 도로 마모 등 때문이었습니다.
그동안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은 휘발유와 경유차가 배출하는 배기가스 저감에 맞춰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기차를 포함해 배기가스는 물론 주행 중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석환/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현재는) 배기 미세먼지만 규제하고 있는데 향후 유로 7에서 브레이크 마모 미세먼지를 규제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선제적으로 비배기 미세먼지를 저감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연구진은 후속 연구로 타이어와 브레이크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일 방안을 찾고 있습니다.
→ [관련 KBS 뉴스는 2022.10.11] 방영 되었는데 방영 후 많은 의견들이 댓글로 달렸다.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중에 몇 가지 의견을 공유해 볼까 합니다.
(Randy Kim) - 이런 정보가 많이 알려지길 바랍니다. 정말 지구를 위하고 국민을 위한다면 이런 정보가 많이 알려져야 합니다. 눈감고 아웅식의 환경보호들이 너무 많아요.
(기타쌤 힐링 스토리) - 미세먼지 한참 유행할 때 타이어 때문이라고 종종 말이 나왔었는데 전부 관심도 없고 무심했어요
(sh kang) - 알고 있는지 알았는데 이제 알았다는게 놀랍다.
(민트아이) - 이걸 이제야 생각했다니 놀랍네!
(ralph gibson 1) - 전기차로 넘어오면..타이어하고 브레이크의 내구성은 내연기관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남. 브레이크는 회생제동 때문에 사용량이 급격히 줄어서 그렇고, 타이어도 출발과 정차할 때 마모가 가장 심한데 출발할 때는 모터제어를 통해서 슬립현상을 최저로 하기 때문에 그렇고, 제동시에도 브레이크와 타이어로 액티브 제어를 하던 내연기관과 달리, 회생제동으로 패시브 제어를 하는 방식이라 타이어 마모도 훨씬 적음.
다만..급출발 급가속 급제동을 즐겨한다면, 전기차의 무게와 높은 토크 출력 때문에 타이어 마모는 내연기관보다 더 빠를 수 있음. 전비 운전을 하는 스타일로 기존 전기차들 타신 분들 평가를 보면..타이어를 10만 까지 타도 마모가 적어서, 더 탈 수 있는데도 경화되는 것 때문에 교체한다고 함.
(이슈온) - 전기차는 친환경이라고하기엔 애매하다. 배터리를 실은 만큼 차가 무거워졌고 무거워진 만큼 타이어 닳아지는 속도도 빠르다. 전기차 전용 타이어들이 출시되고는 있지만 미세먼지 발생은 당연하게도 가벼웠던 기존 휘발유 경유차들에 비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또한 럭셔리라면서 5인승 이상 400KM 이상 달리는 것도 과연 친환경인가?라고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그만큼 에너지를 충전해야 하는데 손실이 당연히 많다. 무거운 만큼 에너지 소모도 빠르며 타이어도 빠르게 닳는다. 적당한 인원수 적당한 키로수 적당한 무게 적당한 크기의 전기차가 진짜 친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대기 중 미세먼지와 도로 미세먼지에 대한 저감 정책을 만들고 발표함에 있어 더욱더 신중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위에서 몇 가지 의견을 보듯 국민들 수준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어설프고 뻔한 정책들은 이젠 더 이상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