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세먼지 주범 '타이어·브레이크 마모'…유럽은? 미세먼지 주범 '타이어·브레이크 마모'…유럽은? TBS [ON 세계] 보도에 의하면 도로 재비산 미세먼지 주범은 따로 있었다. 자동차 배출구에서 나오는 매연 못지않게 미세먼지를 내뿜는 주범이 따로 있는데, 그것은 바로 차량이 달리면서 타이어와 도로가 마모되면서 도로 바닥에 깔려 있던 먼지가 날리면서 나오는 미세먼지이다. 이런 마모나 날림 먼지는 무거운 차량일수록 더 많이 나온다고 한다. 해외에서는 이미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관련 규제도 시행되고 있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1년 전 한국기계연구원의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심각성을 알게 되었다. TBS [ON 세계] 최형주 기자를 통해 국내외 실태 어떤지 집중적으로 짚어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유럽 배기가스 예측센터(CEIP)에서 나온 보고서 차량.. 더보기
서울시 4월 평균 최미세 먼지 농도 순위 공개 시흥1·응암3·가리봉동 ‘미세먼지 나쁨’… 용답·염창·신당동은 양호한 수준 서울 425동 지난달 평균치 보니 서울시 425개 행정동(洞)별 초미세 먼지(PM2.5) 순위가 처음 공개됐다. 민간 기상 업체 케이웨더는 25일 서울시가 운영하는 미세 먼지 측정기 1070대가 생산한 개방 데이터를 토대로 동별 초미세 먼지 현황을 분석해 발표했다. 현재 정부는 서울시 25개 구 단위로 미세 먼지 수치를 발표하고 있다. 하루를 기준으로 PM2.5 농도를 가늠할 때는 35㎍/㎥ 이하일 때 ‘좋음~보통’이고 이를 초과하면 ‘나쁨~매우나쁨’으로 본다. 하지만 연간 평균치로는 ’15㎍/㎥ 이하’를 대기환경기준으로 삼고 있다. WHO(세계보건기구)는 연간 10㎍/㎥ 이하로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케이웨더 분석에 따르면.. 더보기
임산부 미세먼지 노출 시 자녀 천식 위험 높아... "임산부 초미세먼지 노출 시 자녀 천식 위험 증가" 임신 중인 엄마가 초미세먼지(PM 2.5)에 노출되면 출산한 아이의 천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뉴욕 마운트 시나이 메디컬센터의 로절린드 라이트 환경의학 교수 연구팀이 보스턴 주 시내에 거주하는 모자 376쌍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뉴스 사이 유크레얼러트가 22일 보도했다. 임신 중 초미세먼지에 노출된 여성이 낳은 아이는 18% 이상 나중에 천식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일반적인 소아 천식 발생률이 7% 내외라는 점을 볼 때 높은 비율이다. 천식은 대부분 아이들이 3세를 넘긴 직후 발생했고 여자아이들이 남자아이들보다 더 많았다. 아기가.. 더보기
미세먼지, 경유차가 아니라 도로재비산 먼지가 문제 미세먼지, 경유차가 아니라 도로재비산 먼지가 문제 미세먼지와 관련해서 국내에는 제대로 된 환경정책이 없다는 지적을 주변에서 많이 들었다. 사실 정부가 추진해온 미세먼지 관련 정책들로는 상황이 개선되긴 어려울 것이다. 정확한 상황 진단이 없이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겠는가. 많은 사람들이 초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이 차량이며 특히 경유차에서 비롯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많이 다르다. 2001년도 및 2006년 환경부 미세먼지(PM10) 배출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배출량의 85% 이상이 도로 재비산먼지였고, 경유차 배출가스에 의한 배출량은 약 9%에 불과했다. 도로 재비산먼지는 차량 운행으로 도로 토양입자, 마모된 타이어 가루 등이 대기로 흩어지며 형성되는 미세먼지다. 그렇다면 도로 재비산.. 더보기
대한민국 미세먼지·근로시간·행복지수 여전히 최악 대한민국 미세먼지·근로시간·행복지수 여전히 최악 근로시간·미세먼지 최악…한국 행복지수 OECD 37개국 중 35위 한국의 국가 행복지수 순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OECD 회원국은 그리스와 터키 뿐이었다. 미세먼지 OECD 평균치의 두 배, 근로시간은 연간 241시간 더 길어 19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의 ‘나라경제’ 5월호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한국의 국가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평균 5.85점이었다. 전체 조사 대상 149개국 중 62위를 차지했다. OECD 회원국 37개국 중에선 35위였다. OECD 회원국 중 국가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는 핀란드(7.84점)였다. 이어 덴마크(7.62점), 스위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