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없앤다는 도심공원…저감효과 단 0.29% 도심공원 미세먼지 저감효과 매우 저조.... 환경부·환경산업기술원 보고서 - 미세먼지 흡수율도 낮고 -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흡수도 저조 미세먼지를 잡겠다고 서울을 비롯한 도심 지역에 공원 조성이 추진되고 있지만 공원을 조성해 봐야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1%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관련기사 보기]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3일 `도시 내 조성된 공원의 대기오염 저감 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공원이 대기오염물 저감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게재했다. 기술원은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오존, 일산화탄소의 2015~2019년 농도 변화와 지역별 녹지 흡수율을 추적한 결과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는 녹지 흡수율이 각각 0.. 더보기 미세먼지 흡입한 돼지, 각종 염증 증상 나타나... 미세먼지 흡입한 돼지 부검했더니… 결과는? 미세먼지에 사람이 꾸준히 노출된다면..... 얼마나 위험할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 여전히 우리 곁을 떠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봄철 골칫거리인 미세먼지가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왔다. 엎친 데 덮친 격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예전만큼 미세먼지의 위해성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눈치다. 아무래도 코로나19에 오랜 기간 시달리면서 미세먼지에 대한 주목도가 예전보다 상대적으로 덜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확인된 부분이다. 폐로 들어와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뇌졸중, 심장질환, 폐암, 정신질환 등과도 연관성이 크다는 보고가 있다.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미세먼지가 국내에서만 연간 수만 명.. 더보기 친환경 미세먼지 저감제로, 도로재비산먼지 해결 미세먼지, 뇌졸중과 심장질환 발생시킨다 대한뇌졸중학회, "미세먼지 문제 해결 위한 사회적 대책 필요" 초미세먼지가 뇌졸중과 심장질환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e˗의료정보는 전하고 있다.[2018.06.25] 대한뇌졸중학회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 조사 결과에서 미세먼지로 인한 질환 별 사망자 수는 뇌졸중과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경우가 각각 40%로 전체 사망자 중 80%를 차지한다. 이는 폐암과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20% 보다 크게 높은 비율이다. 이렇듯 미세먼지로 인한 사망의 대부분은 혈관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국내서도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사망 증가 홍윤철 교수팀(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은 우리나라 지역별 초미세먼지 농도와 기대수명, 질병과 생존기간과의 상.. 더보기 미세먼지, 치매 질환으로 이어져... 위험하다 미세먼지, 뇌 위축으로 치매까지 불러온다. 길병원 노영·연세대 조재림·김창수 연구팀, 장노년층 뇌분석 결과 발표 대기오염물질 농도 높아질수록 뇌 부피 축소돼 인지 기능 감퇴 일어나 봄철 미세먼지가 뇌를 위축시켜 인지 기능 감퇴를 일으킨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기오염이 노인성 치매 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해 주목된다.[▶관련기사 바로가기] 가천대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와 연세대 예방의학교실 조재림 박사, 김창수 교수 공동연구팀은 대기오염 물질 농도가 높아질수록 뇌 구조물 부피가 축소돼 인지 기능에 악영향을 초래한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로는 호흡성 분진인 PM10(미세먼지), PM2.5(초미세먼지), 자동차나 항공기, 선박 등에서 배출되는 NO2(이산화질소).. 더보기 친환경 미세먼지 저감제로 도로위 미세먼지 해결하다. 친환경 미세먼지 저감제로 도로위 미세먼지 해결하다. 포장도로용 친환경 비산방지제 사용이 절실할 때다. ▣ 미세먼지란? - 직경 10μm보다 작은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 코, 눈, 입 등 점막을 통해 인체로 침투하여 혈관을 타고 신체 곳곳에 침착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 - 장기적·지속적 노출시 천식과 폐질환, 심혈관질환, 뇌질환, 고혈압 등 각종 질병 유발 - 대한민국, 초미세먼지(PM2.5) 유발 연평균 11,900명 조기사망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 JKMS7월호, 2018년, 서울대) ▣ 도로 재비산 미세먼지의 심각성 - 평균 10m 높이에 설치된 국가 대기측정망 미세먼지 농도 보다 도로 주변 1.5m 높이 미세먼지 농도가 약 2배 이상 높음 - 미세먼지 발생 1차 원인 물질.. 더보기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146 다음